생명보험재단, 9년 간의 SOS생명의전화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hit. 123 2020-08-26

null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사장 이종서이하 생명보험재단)은 한국생명의전화와 2011년부터 9년간 운영중인 'SOS생명의전화의 상담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SOS생명의전화는 한강 다리를 찾은 자살 위기자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도록 한강 교량에 설치된 상담 전화기다현재 20개 교량에 75대의 ‘SOS생명의전화가 설치되어 365 24시간 상담전화를 운영하고 있으며위기상황 발생 시 119구조대경찰과 연계해 생명구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생명보험재단은 2011년부터 2020년 6월까지 20개 한강 교량에 설치된 ‘SOS생명의전화’ 운영 누적 상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지난 9년간 자살 위기상담이 8,113건이었으며그 중 투신 직전의 고위험자를 구조한 건수는 1,595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SOS생명의전화로 걸려온 전화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마포대교가 5,242(6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뒤이어 한강대교 622(8%), 양화대교 358(4%)으로 나타났다또한 ‘SOS생명의전화’ 이용자 중 남성이 4,584(56.5%)으로 여성 2,983(36.8%)에 비해 1,601건 높았으며가장 많이 이용하는 연령대는 20대 (32.7%) 10(30.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특히, 10대 이용자 중 84%는 17~19세의 고등학생으로 나타났다.

 

‘SOS생명의전화’ 상담 유형을 살펴보면이성교제와 직장 및 사회 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인관계에 대한 상담이 2208(22%)으로 가장 많았으며두번째는 진로 고민과 학업에 따른 심적 부담감과 압박감에 대한 내용이 2,017(20%)이었다이는 10대 청소년 및 20대의 이용자가 많은 ‘SOS생명의전화의 특성으로 분석된다.

 

SOS생명의전화’를 가장 많이 찾는 시간대는 오후 6시부터 자정까지 4,216(52%)이었으며동이 트는 아침 6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1,267(16%)로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

 

한국생명의전화 하상훈 원장은 자살은 개인적인 요인도 있지만 사회적제도적 요인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결과로 나타나는 사회문제다최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의 증가와 비대면 생활이 장기화되면서 불안감과 우울감자살충동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며 “’SOS생명의전화가 극단적인 선택을 막고작은 생명 하나라도 놓치지 않기 위해 생명보험재단과 긴밀한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명보험재단 송기정 상임이사는 생명보험재단은 지난 2011년 충동적인 자살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한강 교량에 'SOS생명의전화'를 설치한 이래로 지난 9년 간 꾸준히 운영하며자살 발생의 직전 단계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나아가 한국생명의전화, 119수난구조대 등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전문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위기에 놓인 소중한 생명을 구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생명보험재단은 심각한 사회 문제인 자살 문제의 해소를 위해 다각적인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청소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청소년 자살예방사업△농촌 지역 노인들의 음독자살을 방지하기 위한 '농약안전보관함 보급사업△일반인 대비 자살위험이 8배 이상 높은 자살 유가족과 자살시도자를 위한 '자살위험군 지원사업등 대상 별 전방위적인 자살예방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생명보험재단은 2007년 삼성생명교보생명한화생명 등 20개 생명보험회사의 공동 협약에 의해 설립된 공익법인이다생명보험이 지향하는 생명존중생애보장정신에 입각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다자살예방생명문화확산저출산해소고령화극복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해 전문 복지기관과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첨부파일 :